Factory Pattern
Factory Pattern
개요
- simple factory pattern, factory method pattern, abstract factory pattern으로 나뉜다.
- 객체 생성의 책임을 클라이언트에서 팩토리 클래스로 이동시켜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줄이는 패턴이다.
Simple Factory Pattern
- 클라이언트가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 필요가 없도록 팩토리 클래스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패턴이다.
- 클라이언트는 팩토리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고, 팩토리 클래스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한다.
- 클라이언트는 팩토리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므로,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.
- static 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경우가 많다.
예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memory>
#include <string>
using namespace std;
class Product {
public:
virtual void use() = 0;
virtual ~Product() = default;
};
class ConcreteProductA : public Product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A" << endl;
}
};
class ConcreteProductB : public Product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B" << endl;
}
};
class SimpleFactory {
public:
static unique_ptr<Product> createProduct(const string& type) {
if (type == "A")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A>();
} else if (type == "B")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B>();
}
return nullptr;
}
};
int main() {
unique_ptr<Product> productA = SimpleFactory::createProduct("A");
if (productA) {
productA->use();
}
unique_ptr<Product> productB = SimpleFactory::createProduct("B");
if (productB) {
productB->use();
}
return 0;
}
Factory Method Pattern
- 팩토리 메서드 패턴은 객체 생성의 책임을 서브클래스에 위임하는 패턴이다.
- 팩토리 메서드를 정의하고, 서브클래스에서 이 메서드를 구현하여 객체를 생성한다.
- 클라이언트는 팩토리 메서드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므로,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.
- 팩토리 메서드는 서브클래스에서 구현되므로, 클라이언트는 팩토리 메서드의 구현을 알 필요가 없다.
예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memory>
#include <string>
using namespace std;
class Product {
public:
virtual void use() = 0;
virtual ~Product() = default;
};
class ConcreteProductA : public Product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A" << endl;
}
};
class ConcreteProductB : public Product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B" << endl;
}
};
class Creator {
public:
virtual unique_ptr<Product> factoryMethod() = 0;
void someOperation() {
unique_ptr<Product> product = factoryMethod();
product->use();
}
};
class ConcreteCreatorA : public Creator {
public:
unique_ptr<Product> factoryMethod() override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A>();
}
};
class ConcreteCreatorB : public Creator {
public:
unique_ptr<Product> factoryMethod() override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B>();
}
};
int main() {
unique_ptr<Creator> creatorA = make_unique<ConcreteCreatorA>();
creatorA->someOperation();
unique_ptr<Creator> creatorB = make_unique<ConcreteCreatorB>();
creatorB->someOperation();
return 0;
}
Abstract Factory Pattern
- 추상 팩토리 패턴은 관련된 객체들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패턴이다.
- 클라이언트는 추상 팩토리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므로, 객체 생성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.
- 추상 팩토리는 관련된 객체들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, 클라이언트는 객체의 구체적인 클래스를 알 필요가 없다.
예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memory>
#include <string>
using namespace std;
class ProductA {
public:
virtual void use() = 0;
virtual ~ProductA() = default;
};
class ProductB {
public:
virtual void use() = 0;
virtual ~ProductB() = default;
};
class ConcreteProductA1 : public ProductA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A1" << endl;
}
};
class ConcreteProductA2 : public ProductA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A2" << endl;
}
};
class ConcreteProductB1 : public ProductB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B1" << endl;
}
};
class ConcreteProductB2 : public ProductB {
public:
void use() override {
cout << "Using ConcreteProductB2" << endl;
}
};
class AbstractFactory {
public:
virtual unique_ptr<ProductA> createProductA() = 0;
virtual unique_ptr<ProductB> createProductB() = 0;
virtual ~AbstractFactory() = default;
};
class ConcreteFactory1 : public AbstractFactory {
public:
unique_ptr<ProductA> createProductA() override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A1>();
}
unique_ptr<ProductB> createProductB() override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B1>();
}
};
class ConcreteFactory2 : public AbstractFactory {
public:
unique_ptr<ProductA> createProductA() override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A2>();
}
unique_ptr<ProductB> createProductB() override {
return make_unique<ConcreteProductB2>();
}
};
int main() {
unique_ptr<AbstractFactory> factory1 = make_unique<ConcreteFactory1>();
unique_ptr<ProductA> productA1 = factory1->createProductA();
unique_ptr<ProductB> productB1 = factory1->createProductB();
productA1->use();
productB1->use();
unique_ptr<AbstractFactory> factory2 = make_unique<ConcreteFactory2>();
unique_ptr<ProductA> productA2 = factory2->createProductA();
unique_ptr<ProductB> productB2 = factory2->createProductB();
productA2->use();
productB2->use();
return 0;
}
팩토리 매서드 패턴 vs 추상 팩토리 패턴
Factory Method Pattern | Abstract Factory Pattern |
---|---|
클래스를 사용해서 제품을 생성 | 객체을 사용해서 제품을 생성 |
상속으로 객체를 생성 | 구성으로 객체를 생성 |
하나의 제품군에 대한 객체를 생성하는 메서드를 정의 | 관련된 여러 제품군을 묶어서 객체를 생성하는 메서드를 정의 |
서브클래스에서 팩토리 메서드를 구현하여 객체를 생성 | 서브클래스에서 여러 팩토리 메서드를 구현하여 객체를 생성 |
객체 생성의 책임을 서브클래스에 위임 | 객체 생성의 책임을 추상 팩토리에 위임 |
클라이언트 코드와 팩토리 메서드가 분리되어 있음 | 클라이언트 코드와 팩토리 메서드가 결합되어 있음 |
팩토리 메스드 패턴은 일종의 템플릿 메소드 패턴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