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하드웨어 자원 모니터링 명령어 및 도구
Linux 하드웨어 자원 모니터링 명령어 및 도구
🖥️ Linux 하드웨어 자원 모니터링 명령어 및 도구
Linux 시스템에서 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와 도구들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하였습니다.
1️⃣ CPU 사용률 확인
1. mpstat
1
2
# CPU 사용률을 %로 표시
mpstat | tail -1 | awk '{print 100-$NF}'
mpstat는sysstat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며, CPU 사용률을 모니터링합니다.
2. top
1
2
3
4
5
# CPU idle 확인
top -b -n1 | grep -Po '[0-9.]+ id'
# CPU 사용률 %
top -b -n1 | grep -Po '[0-9.]+ id' | awk '{print 100-$1}'
top명령어는 실시간으로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며,-b옵션은 배치 모드로 실행합니다.
3. nmon
1
2
# nmon 실행 후, 'c'를 눌러 CPU 사용률 확인
nmon
nmon은 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 등 다양한 시스템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 (LFCS Certification eBook)
2️⃣ 메모리 사용량 확인
1. free
1
free -h
free명령어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-h옵션은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합니다.
2. sar
1
sar -r 1
sar는 시스템 활동 보고서로, 메모리 사용량을 포함한 다양한 시스템 통계를 제공합니다.
3. top
1
top -n1 | grep Mem
top명령어에서-n1옵션을 사용하여 한 번만 실행하고,grep을 사용하여 메모리 정보를 필터링합니다.
4. /proc/meminfo
1
cat /proc/meminfo | grep Mem
/proc/meminfo파일은 시스템의 메모리 정보를 제공합니다.
3️⃣ 디스크 사용량 확인
1. df
1
df -h
df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합니다.-h옵션은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합니다.
2. iostat
1
iostat -x 1
iostat는 CPU와 디스크 I/O 통계를 제공합니다.-x옵션은 확장된 통계를,1은 1초 간격으로 출력합니다.
3. nmon
1
2
# nmon 실행 후, 'd'를 눌러 디스크 사용량 확인
nmon
nmon에서 ‘d’를 눌러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️⃣ 네트워크 사용량 확인
1. ifstat
1
ifstat
ifstat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통계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.
2. netstat
1
netstat -i
netstat는 네트워크 연결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통계 등을 표시합니다.-i옵션은 인터페이스 통계를 보여줍니다.
3. ss
1
ss -tuln
ss는netstat보다 빠르고 상세한 네트워크 통계를 제공합니다.-tuln옵션은 TCP, UDP, 리스닝 포트, 숫자 형식으로 출력합니다.
4. nmon
1
2
# nmon 실행 후, 'n'을 눌러 네트워크 사용량 확인
nmon
nmon에서 ‘n’을 눌러 네트워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5️⃣ 종합 모니터링 도구
1. atop
1
atop
atop은 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 등의 자원 사용량을 상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 (Last9)
2. nmon
1
nmon
nmon은 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 등 다양한 시스템 자원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 (LFCS Certification eBook)
3. Netdata
1
netdata
Netdata는 실시간으로 시스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, 웹 기반 대시보드를 제공합니다. (Wikipedia)
6️⃣ 참고 사항
nmon: 실시간 모니터링과 CSV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후속 분석이 가능합니다.atop: 시스템 자원 사용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, 로그 기능을 통해 과거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.Netdata: 웹 기반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, 다양한 플러그인을 지원합니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