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rena 기본 가이드
Serena 기본 가이드
Serena 기본 가이드
Serena는 코드베이스 내에서 의미 기반(semantic) 검색·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, 특히 Claude Code 등 LLM(대형 언어모델)과 함께 이용될 때 효과가 큽니다. (GitHub)
1. 설치 (로컬 방식)
1
2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oraios/serena
cd serena
위 명령으로 저장소를 내려받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합니다. (GitHub) 그 다음, 설정 파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(선택):
1
uv run serena config edit
설정을 건드리지 않아도 다음 명령 실행 시 자동으로 기본 설정 파일이 생성됩니다. (GitHub)
2. 서버 실행
1
uv run serena start-mcp-server
위 명령으로 Serena의 MCP 서버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 (GitHub) 백그라운드나 외부 디렉토리에서 실행할 경우에는 다음처럼 디렉토리를 명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:
1
uv run --directory /abs/path/to/serena serena start-mcp-server
(GitHub)
3. 설정(Configuration)
Serena는 설정을 통해 동작 방식이나 통합되는 클라이언트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 (GitHub)
- 사용자 홈 디렉토리(
~/.serena/serena_config.yml)에 일반 설정 파일이 위치합니다. (GitHub) - 프로젝트 단위 설정 파일(
.serena/project.yml)도 존재합니다. (GitHub) - 서버 실행 시
--context,--mode등의 옵션으로 동작 맥락(Context)이나 모드(Mode)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 (GitHub)
4. 프로젝트 활성화 및 인덱싱
Serena를 특정 코드 베이스에서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활성화하고 인덱싱하는 것이 좋습니다. (GitHub)
1
2
3
4
5
# 프로젝트 활성화 예시
uv run serena activate_project --project /path/to/my_project
# 인덱싱 예시
uv run serena project index
인덱싱을 하지 않으면 첫 사용 시 처리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. (GitHub)
5. 주요 명령어 요약
serena config edit: 설정 파일을 편집serena start-mcp-server: MCP 서버 실행serena project index: 프로젝트 인덱싱serena activate_project: 프로젝트 활성화serena tools list: 사용할 수 있는 도구(툴)의 목록 확인 (GitHub)
6. 간단 사용 예시
1
2
3
4
5
6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oraios/serena
cd serena
# (선택) 설정 수정
uv run serena config edit
# 서버 실행
uv run serena start-mcp-server
이제 지원하는 MCP 클라이언트(Claude Code 등)에서 Serena 서버를 연결하면 코드 검색·편집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